피그플랜 소식

HOME > 피그플랜 소식 > 공지사항

한돈 육성·지원법 제정 대체식품 대응 업계 한 뜻 대응 필요 2022-11-24

제3차 한돈산업발전협의회 개최



[농축유통신문 김수용 기자]
한돈 육성·지원법 제정과 대체식품 대응 등 한돈산업의 발전을 위해 산업계가 한자리에 모여 논의를 시작했다.
대한한돈협회는 지난 21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제3차 한돈산업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
한돈의 주요 전후방 산업 단체 및 업계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이번 회의에서는 ‘대체식품 시장 동향 및 대응안’과 ‘한돈 육성·지원법 제정(안)’에 대해 논의했다.
첫 번째 주제인 ‘대체식품 시장 동향 및 대응안’의 논의에 앞서 중앙대학교 동물생물공학과 허선진 교수의 발제가 있었다. 허 교수는 국내외 동향 및 대체식품의 업계 동향을 설명하며 ‘대체식품은 세계적 추세로 대체식품이 빠르게 축산을 대체할 것처럼 이야기되지만 당장은 기술력이 아직은 뒷받침 되지 않을뿐더러 그렇다 하더라도 육류를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개인적인 소견을 밝혔다.
허 교수는 ”환경 건강 종교 동물복지 등의 이유로 기존의 축산식품의 문제가 있어 대체식품을 선택하겠다는게 소비자 입장이므로 한돈산업의 변화와 이미지 개선이 가장 중요한 해법”이라며 “대체 식품 성장 속 진품으로서 그 가치를 높여가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각 업계의 위원들의 공통적인 의견은 ’고기‘ ’육‘이라는 용어 및 명칭 사용은 금해야 하며 대체식품과 전통축산물을 구분할 수 있게 정확한 기준과 정보체계를 마련해서 제공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위해 정확한 표기기준 마련 대체식품에 대한 판매 실태 조사 객관적인 설문 안전성 등의 조사 및 연구 사업도 뒷받침 돼 침착하고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에 입을 모았다.
한편 김용철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장은 ’인공보다는 천연이 사람 몸에 이롭다는 정공법으로 소비자에게 홍보해야한다‘며 의견을 제시했고 한국양돈연구회 강권 회장은 ’몇 년전 이베리코 돼지 이후 국내 흑돼지가 오히려 살아났다며 대체식품에 대한 관심이 한돈의 장점을 홍보하고 양질의 고기로 소비자를 설득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혜진 대한영양사협회장은 ’최근 초등학교 학교 급식에서 채식이 장려되고 있는데 이것은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런 불균형적인 영양식단을 추천하는 일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강력히 항의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 김연화 회장도 ‘식물성 단백질에 비해 완전단백질인 전통축산 동물성 단백질의 가치를 전달하고 분뇨가 땅을 비옥하게 한다는 원순환의 순기능도 함께 홍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원문 : http://www.am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