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관련단체협의회가 도축장 전기요금 특례 종료로 인한 도축비 상승을 두고 인상 철회와 정부와 국회의 대책 마련을 촉구함과 동시에 농협중앙회의 역할 부재를 지적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손세희)는 13일 성명서를 통해 도축장 전기요금 특례 종료로 인한 도축비 인상이 축산업 전반과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심각한 악영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도축업계의 도축비 인상 철회와 정부와 국회의 즉각적인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축단협은 "정부가 물가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도축장 전기요금 특례 종료는 축산농가의 생산비 증가를 직접적으로 초래하고 있다"며 "이미 사룟값 폭등, 가축질병, 소비 침체 등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리는 농가에게 이는 생존을 위협하는 직접적인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소비자 물가 상승과 국내 축산업 경쟁력 약화, 나아가 식량안보 위협이라는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축산업은 국민의 식량안보와 직결된 국가 핵심산업"이라고 강조하며 "정부와 국회는 즉각적인 전기요금 특례 연장과 제도적 개선을 통해 축산업 생태계 보호에 나서야 하고, 도축업계는 일방적인 비용 전가를 중단하고 도축비 인상 방침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축단협은 또, 농협중앙회의 실질적인 축산업 지원과 역할 수행을 촉구하기도 했다.
축단협은 "농협중앙회가 도축장 전기요금 특례 종료와 사룟값 폭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축산농가들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축산농가들이 생존의 갈림길에 서있는 이 엄중한 시기에 농업인을 위한 본연의 사명보다 내부 인사와 조직 운영에 대한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축협중앙회와 통합 당시 약속했던 축산업 지원과 비전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채 오히려 농민과의 거리가 더욱 멀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며 "'농민의 대표'라는 막중한 책무를 되새기고 208만 조합원의 권익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곽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