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식량안보 차원에서 한돈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한돈협회는 생산자 중심의 정책 시행을 주문하며, 한돈산업 지속 발전을 위한 7개 사항을 농림축산식품부에 적극 요청했다.
손세희 한돈협회장 및 조영욱, 김춘일 부회장 등 협회 회장단은 지난 12일 세종시 정부청사에서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을 예방, 한돈산업 정책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정부와 한돈협회는 소통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 향후 한돈산업 정책 변화도 예상되고 있다.
이날 정황근 장관은 “우리나라 육류소비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육류 소비 중 돼지고기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식량안보 차원에서 국내 돼지고기 생산기반을 유지·발전시키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한돈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개선 및 효율적인 정책지원 방안에 대해 한돈협회를 비롯한 여러 축산 관련 단체와 함께 고민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손세희 한돈협회장은 생산자 중심의 정부 정책 수립을 강조하면서, 양돈이 농업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에 걸맞는 인프라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손 회장은 “축산 및 연관산업은 규모가 약 22조원에 달하는 등 생산?부가가치?고용 등 국민경제의 중요 위치에 있다”며 “규제보다는 산업의 역동성을 살릴 수 있는 자율적인 생산자 중심의 정책 방향을 세워주길 부탁한다”고 요청했다. 이를 위해 돼지의 생산, 유통, 판매와 관련된 기초 기반시설에 정부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계획을 마련해달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협회는 한돈산업 지속 발전을 위해 △민간 중심의 가축방역 체계 구축 △지속가능한 양돈업을 위한 인프라 구축 지원 △각종 규제 개선 △사료 자급률 향상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보급 확대 △권역별 도축장 확대 등 관련 기반 시설 강화 △한돈자조금 사업의 자율적 운영 지원 등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저작권자 ? 양돈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